2023년 7월부터 일상돌봄 서비스 지원이 소득과 무관하게 취약계층 외 확대지원으로 전국민에게 가능해 진다. 정부의 복지 지원금 서비스로 청년과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지원되는 이 서비스의 개요와 서비스 내용 그리고 수행지역 등 자세히 알아보자.
일상돌봄 서비스 개요

2023년 하반기부터 현 정부에서 홀로사는 중장년과 가족돌봄 청년까지 정부의 지원을 받는 서비스이다. 소득과 무관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, 12개 시도 37개 시 군 구 에서 고도화 된 복지서비스를 시행한다.
일상돌봄 서비스 대상
그동안은 사회 취약계층에게만 지원되었던 서비스가 확대되어 홀로살며 도움이 필요한 중장년층 만 40세~ 65세가 이에 해당된다. 소득에 관계없이 중장년 중 가족이나 친지가 없이 혼자 사는 사람으로 질병이나 부상이 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. 그리고 만 13세 ~ 34세까지 가족을 돌보는 청년으로 질병, 장애, 정신질환이 있는 가족을 돌보며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청년도 해당이 된다. 여기서 가족은 부모, 조부모, 형제자매, 친척 등으로 자녀를 제외한 동거 가족을 말한다.
서비스 내용

만 40세 ~ 64세 중장년
- 식사 영양 관리: 질환 등으로 스스로 식사준비가 어려운 대상에게 맞춤형 식사 지원 및 영양관리(주 3회 이상)
- 병원 동행: 거동이 불편한 대상에게 이동 및 동행 보조, 병원 접수와 수납 등 지원 (월 16시간 이내)
- 심리 지원: 전문가에 의한 맞춤형 심리지원 실시 (월 4회)
- 휴식 지원: 서비스 이용자 단기 시설보호 지원 (월 최대 3일)
- 건강강생활 지원: 건강증진 및 생활운동 프로그램 지원 (월 8회)
- 소셜 다이닝: 생활에 필요한 요리를 배우고 함께 식사하는 기회를 통해 교류 및 사회참여 증진 (월 4회)
- 교류증진 지원: 지역주민과의 일상적 소통 및 교류 증진 (월 4회)
가족돌봄청년 만 13세 ~ 34세
- 식사, 영양관리: 질환 등으로 스스로 식사 준비가 어려운 대상자 주 3회 이상
- 병원 동행: 거동이 불편한 대상에게 이동 및 동행 보조, 병원 접수와 수납 등 지원 (월 16시간 이내)
- 심리 지원: 전문가에 의한 맞춤형 심리지원 실시 (월 4회)
- 휴식 지원: 서비스 이용자 단기 시설보호 지원 (월 최대 3일)
- 간병 교육: 간병, 돌봄 방법 등에 대한 교육 제공(총 8회)
- 독립생활 지원: 경제교육, 생활 법률교육, 진로탐색, 멘토링 등 자립기반 조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(월 3회)
일상돌봄서비스 대상자 부담금
대상자라면 누구나 소득에 상관없이 지원 가능한 서비스이지만 소득 기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다. 부담금은 기본 서비스 12시간 이용 시 월 19만원, 36시간 이용 시 월 63만 6천원, 특화 서비스는 월 12만원 ~ 25만원 까지 서비스 종류에 따라 다르다.
기준 중위소득 | 기본 서비스 | 특화 서비스 |
기초수급자, 차상위 | 면제 | 5% |
120% 이하 | 10% | 20% |
120 ~ 160% | 20% | 30% |
160% 초과 | 100% | 100% |
서비스 지역 확인
전국 12개 시, 도의 37개 시군구를 선정했는데 아래 표를 참고하면 되고 제외 된 지역은 추가로 2차 수행지역을 모집하고 있다고 한다.

시, 도 | 시 군 구 | 지원대상 |
서울 | 서대문구 | 가족돌봄청년 |
부산 | 영도구, 남구, 북구, 해운대구, 수영구 | 돌봄 필요 중장년 |
대전 | 동구 | 돌봄 필요 중장년 |
울산 | 중구, 남구, 동구, 북구, 울주군 | 돌봄 필요 중장년 가족돌봄청년 |
경기 | 광주시, 광명시, 남양주시, 용인시, 이천시 | 돌봄 필요 중장년 가족돌봄청년 |
강원 | 동해시 | 돌봄 필요 중장년 가족돌봄청년 |
충남 | 천안시, 공주시, 보령시, 아산시, 서산시, 부여군 | 돌봄 필요 중장년 가족돌봄청년 |
전북 | 전주시, 군산시, 남원시, 김제시 | 돌봄 필요 중장년 가족돌봄청년 |
전남 | 영암군, 해남군 | 돌봄 필요 중장년 가족돌봄청년 |
경북 | 안동시, 구미시, 의성군, 칠곡군 | 돌봄 필요 중장년 가족돌봄청년 |
경남 | 김해시, 창원시 | 돌봄 필요 중장년 |
제주 | 제주시 | 돌봄 필요 중장년 가족돌봄청년 |
돌봄서비스 신청방법
거주 지역의 읍, 면, 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, 신청하면 된다. 궁금한 점이나 문의사항은 아래 해당지역 연락처로 문의하면 된다.

<자료출처=정책브리핑 www.korea.kr>